Get the latest tech news
The head of South Korea's guard consulted ChatGPT before martial law was imposed
이광우 경호본부장이 12·3 비상계엄 선포 2시간 전에 인공지능 서비스 챗지피티에서 ‘계엄’을 검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광우 본부장 쪽은 ‘포렌식 과정의 시간 오차’ 등을 주장했지만, 국무위원들 보다도 먼저 계엄을 인지하고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18일 경찰과 검
18일 경찰과 검찰 등에 따르면, 서울서부지검에 제출된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서엔 이 본부장이 지난해 12월3일 오후 8시20분께 ‘계엄령’, ‘계엄 선포’, ‘국회 해산’을 검색했다는 내용이 첨부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본부장의 법률대리인인 배의철 변호사는 이에 대해 “해당 챗지피티 검색이 공무집행방해 내지 직권남용의 피의사실과 아무 관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에스엔에스(SNS) 사용 시간의 오차가 생기는 포렌식 복원 오류를 지적하며 파일 선별 과정에서 제외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라며 “이 본부장은 포렌식 과정에서 해당 내용을 검색한 시간은 비상계엄이 발동된 이후라고 진술했으며, 티브이(TV)를 보고 비상계엄의 발표를 알게 되었다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반박했다. 아울러 김성훈 차장은 지난 1월25일 검찰에 ‘처(處) 보안폰 보안성 강화 방안 검토 결과' 보고서를 증거로 임의 제출하면서, 자신의 ‘비화폰 단말기 통화 기록 삭제 지시’ 부분은 가린 걸로 드러났다.
Or read this on Hacker News